투자

글로벌 리오프닝의 진짜 효과: 여행·항공·호텔 산업은 지금 어떻게 변했나?

Eastpark 2025. 1. 14. 22:35
728x90
반응형

1. 리오프닝 그 후, 여행 수요는 계속될까?

 

(1) 코로나 이후 여행 수요 폭증

억눌린 수요(Pent-up Demand): 2~3년간 해외여행에 대한 규제가 풀리자, 갑자기 폭발적으로 쏟아진 여행 수요.

실제로 국제 항공편 예약률과 호텔 점유율이 코로나 이전(2019년) 수준을 회복하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초과 달성하기도 함.

 

(2) 장기 지속 가능성

고환율, 경기 침체 우려, 유가 상승 등 리스크가 있지만, MZ세대 중심의 ‘영감 여행’(이색 경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체 숙소(에어비앤비), 개인화된 여행 패키지 등 새로운 형태의 관광 서비스가 성장 중이므로, 부가가치가 계속 창출될 수 있음.

 

2. 항공·호텔·크루즈 등 업계 변화

 

(1) 항공사

허브공항 재편: 저비용항공사(LCC) 세력이 확대되고, 이원화된 허브-스포크 모델이 부분적으로 재정립되는 추세.

비즈니스 여행 감소: 원격근무·화상회의 발달로, 출장 수요가 예전만큼 회복되지 않는다는 우려도 있음.

 

(2) 호텔 & 리조트

고급화·브랜딩 경쟁 심화: 소비자들은 단순 숙박이 아니라, 체험·컨셉을 중요시하는 경향.

리츠(REITs) 형태의 부동산 투자: 여행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호텔 리츠 수익이 향상될 가능성.

 

(3) 크루즈 산업

크루즈업계는 코로나 타격이 매우 컸으나, 건강·위생 강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차별화된 라우트(Route)와 테마 프로그램으로 재도약 시도 중.

고유가와 일부 지역의 방역 규제 재개 가능성이 변수.

 

3. 투자 포인트 및 ETF

 

(1) 항공·여행 섹터 ETF 예시

U.S. Global Jets ETF (JETS): 미국·글로벌 항공사, 공항 운영사 위주로 편입.

AdvisorShares Hotel ETF (BEDZ): 호텔, 리조트, 레저 기업 중심(운용사 변경·상품 추가 여부는 수시 확인 필요).

 

(2) 호텔 리츠

Host Hotels & Resorts (HST), Park Hotels & Resorts (PK) 등 대형 호텔 리츠를 통해 간접 투자 가능.

경기 침체 시 숙박 수요가 타격을 받을 수 있기에, 분산 투자 중요.

 

(3) 위험 요인

금리 인상: 호텔 리츠나 항공사 부채 부담 증가 가능성.

코로나 재확산: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거나 특정 지역 방역 정책이 바뀔 경우, 교역량·여행 수요에 직접적 영향.

 

결론

 

코로나 이후 글로벌 리오프닝으로 여행·항공·호텔·크루즈 등 관광 섹터는 단기적으로 큰 활기를 띠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이후 금리·경기·방역 변동성이 다시 부각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 여행, 새로운 체험 수요를 어떻게 충족시키느냐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선 항공·여행 테마형 ETF 또는 호텔 리츠 등으로 분산 투자하면서, 유가·환율·금리 추이, 그리고 각종 대외 이슈(지정학, 방역 규제 등)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728x90
반응형